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분석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는 CD(양도성 예금증서) 금리의 변동성을 추종하는 ETF로, 주로 단기금리의 변동을 반영하며 안전자산으로 평가됩니다. 이 ETF는 합성 방식으로 운영되어 기초 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파생상품 계약을 통해 수익을 추구합니다. 본 글에서는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의 주요 특징, 수익률, 투자 전략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기본 정보
항목 | 내용 |
---|---|
ETF 명칭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
티커 | 459580 |
기초지수 | KAP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지수 |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설정일 | 2023.06.08 |
총 보수율 | 0.02% |
상장거래소 | 한국거래소 (KRX) |
주요 특징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는 단기 금리의 변동을 반영하며, 주로 금리 상승기에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 CD(양도성 예금증서) 금리 지수를 추종하며, 금리 변동을 반영하는 투자 전략
-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 합성 방식으로 운용되며, 파생상품 계약을 통해 수익을 추구
- 단기 금리 상승기에 유리한 투자 상품
수익률 분석
최근 수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04.04)
기간 | ETF 수익률 | 기초 지수 |
---|---|---|
최근 1개월 | 0.25% | 0.26% |
최근 6개월 | 1.57% | 1.59% |
최근 1년 | 3.39% | 3.43% |
ETF는 CD 금리의 변동성을 반영하여 일정한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구성 종목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는 국채,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등 유동성이 높은 채권에 투자하며, 대표적인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04.07)
종목명 | 비중 (%) |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 32.40% |
스왑(하나금융투자) | 19.83% |
국고03250-5403(24-2) | 6.79% |
스왑(유안타증권) | 3.27% |
국고03250-4209(22-11) | 2.17% |
국고02625-5503(25-2) | 2.01% |
스왑(한국투자증권) | 1.40% |
우리금융캐피탈509-1 | 1.39% |
신한은행28-09-이-3-A | 1.17% |
신한은행28-11-이-2.5-A | 1.17% |
외 | – |
투자 전략 및 유의사항
- 단기 금리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
- 안정적인 수익을 목표로 하며, 경기 변동성과 무관하게 일정한 수익 가능
- 합성 방식으로 인한 리스크 존재 (예: 파생상품 계약 위험)
-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투자 목적에 유리한 구조
ETF 사는법
1. 증권사 앱(MTS) 또는 컴퓨터(HTS) 접속
- 주식 거래와 똑같이 본인의 증권 계좌 앱이나 프로그램에 로그인.
2. 투자할 ETF 종목 찾기
- 앱에서 검색창에 ETF 이름 또는 관심 있는 테마(예: 나스닥, 배당주, 2차전지 등)를 입력.
3. ETF 가격(호가창)과 정보 확인
- ETF를 선택하면 현재 가격과 매수·매도 호가창(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의 가격)을 확인 가능.
4. 매수(사기) 또는 매도(팔기) 버튼 클릭
- 시장가 주문 : 현재 시장 가격으로 바로 체결.
- 지정가 주문 : 원하는 가격을 미리 정해서 주문하면, 해당 가격에 도달할 때만 체결.
5. 수량 입력하고 주문하기
- 매수하고 싶은 ETF 수량을 입력한 후, 최종 금액을 확인.
- ‘주문’ 버튼을 클릭하고 확인하면 매수가 완료.
- 매도(팔기)할 때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
6. 체결 확인
- 거래 후에는 체결내역에서 주문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
- 주문이 안 되었다면 가격을 조정하거나 다시 주문.
결론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는 CD 금리의 변동성을 반영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으로, 금리 상승기에 유리한 투자 방법을 제공합니다. 특히, 단기적인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파생상품을 활용한 합성 방식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연관글
ETF(상장지수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