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AI반도체 ETF 분석
KODEX AI반도체 ETF는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핵심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로, AI반도체의 설계 및 생산에 관련된 국내 기업 중심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됩니다.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고부가가치, 기술집약적 구조의 시스템반도체 산업은 AI, 자율주행,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등의 핵심 부품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ODEX AI반도체 ETF 기본 정보
항목 | 내용 |
---|---|
ETF 명칭 | KODEX AI반도체 ETF |
티커 | 395160 |
기초지수 | FnGuide AI반도체 지수 |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설정일 | 2021.07.30 |
총 보수율 | 0.45% |
상장거래소 | 한국거래소 (KRX) |
주요 특징
- AI반도체(비메모리) 산업에 특화된 국내 기업 위주 구성
- 반도체 설계, 제조, 테스트 및 장비 관련 종목 포함
- AI, 5G, 자율주행, 전장, 스마트폰 등 IT 융합기술 수요 반영
- 메모리 대비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고부가가치 중심 산업
수익률 분석
(2025.04.18)
기간 | ETF 수익률 | 기초지수 |
---|---|---|
1개월 | -10.42% | -11.40% |
6개월 | 15.3% | 14.9% |
1년 | -30.03% | -30.03% |
주요 구성 종목
상위 종목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04.18)
종목명 | 비중 (%) |
---|---|
삼성전자 | 24.14% |
SK하이닉스 | 19.46% |
한미반도체 | 7.95% |
이수페타시스 | 6.26% |
DB하이텍 | 4.44% |
HPSP | 4.08% |
한솔케미칼 | 3.43% |
이오테크닉스 | 3.36% |
테크윙 | 3.30% |
동진쎄미켐 | 3.21% |
외 | – |
투자 전략 및 유의사항
- 국내 비메모리 산업의 성장 수혜 기대 투자자에게 적합
- 산업 정책 및 정부 반도체 육성 전략과 연동된 중장기 테마
- 미국·중국 기술 패권 전쟁, 글로벌 수요 둔화 등 외부 리스크 존재
- 성장형 산업 특성상 단기 변동성은 존재하나 장기 수익 가능성 높음
ETF 사는법
1. 증권사 앱(MTS) 또는 컴퓨터(HTS) 접속
- 주식 거래와 똑같이 본인의 증권 계좌 앱이나 프로그램에 로그인.
2. 투자할 ETF 종목 찾기
- 앱에서 검색창에 ETF 이름 또는 관심 있는 테마(예: 나스닥, 배당주, 2차전지 등)를 입력.
3. ETF 가격(호가창)과 정보 확인
- ETF를 선택하면 현재 가격과 매수·매도 호가창(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의 가격)을 확인 가능.
4. 매수(사기) 또는 매도(팔기) 버튼 클릭
- 시장가 주문 : 현재 시장 가격으로 바로 체결.
- 지정가 주문 : 원하는 가격을 미리 정해서 주문하면, 해당 가격에 도달할 때만 체결.
5. 수량 입력하고 주문하기
- 매수하고 싶은 ETF 수량을 입력한 후, 최종 금액을 확인.
- ‘주문’ 버튼을 클릭하고 확인하면 매수가 완료.
- 매도(팔기)할 때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
6. 체결 확인
- 거래 후에는 체결내역에서 주문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
- 주문이 안 되었다면 가격을 조정하거나 다시 주문.
결론
KODEX AI반도체 ETF는 국내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테마형 ETF로, 시스템 반도체의 중요성이 커지는 시점에서 정부 정책, 산업 수요 확대, 기술 발전 흐름에 따라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전략 상품입니다. 반도체 산업 내에서 메모리를 넘어선 새로운 성장 포인트를 찾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장기적 성장 기대감과 구조적인 산업 확대에 베팅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연관글
ETF(상장지수펀드)